본문 바로가기

Aaron[에런]85

[회사 제안 #3] 재사용 컴포넌트, 훅 등 회사의 asset으로 archiving 활용 여러 프로젝트를 하면서 재사용되는 컴포넌트나 훅들을 따로 관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Vue.js 같은 경우에는 custom directive, mixin, plugin 등 어느 프로젝트에서나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들, 그리고 React.js 같은 경우에도 커스텀 훅, 재사용 컴포넌트를 프로젝트 할 때마다 필요한 경우 설계하면서 만든 것들을 따로 아카이브 형식으로 모아두면 나중에 어떤 프로젝트를 하든지 빠르게 모듈처럼 가져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좋은 설계와 컴포넌트들은 학습에도 유용할거라 생각됩니다. 앞으로 자체 서비스를 개발할 때에도 MVP의 빠른 개발에 도움이 되고, 이후 개발팀의 큰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022. 5. 1.
[회사 제안 #2] Git Flow & Git commit convention git flow 관련해서 제 생각을 함께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회사의 규모가 scale-up 되면 협업 시에 git 관련 회사 규칙이나 commit 컨벤션 등이 중요할 거라 생각합니다. 우선 git flow는 아시는 분이 많이 있으시겠지만 master와 develop 브랜치 2개가 주축이 되어서 기능별로 feature 브랜치를 따서 작업을 하게 됩니다. feature 브랜치 작업을 완료해서 finish를 하면 develop 브랜치에 merge가 되고, 이후 v0.1.0 과 같은 형식으로 release 브랜치를 따서 태그를 가지고 master 브랜치에 배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이 때 배포에 있어서 태그로도 관리가 되어 언제나 치명적인 버그가 발생하면 이전 태그로 빠르게 reset하고 이후 .. 2022. 5. 1.
[World Article #4] TypeScript/How the compiler compiles - Huy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 관련 간단한 글입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핵심은 TSCompiler 가 작동할 때, Scanner(token 분석) - Parser(구문 분석) - Binder(AST, node 연결) - Symbol Table 순서의 일반적인 컴파일 과정과 Emitter에서 함수를 호출하여 나오는 Type Checker 과정이 유기적으로 작동한다는 것 같습니다. [TypeScript/How the compiler compiles] - Huy 2022. 5. 1.
[회사 제안 #1] Volta tool 도입 회사가 스케일 업이 되고 협업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게 되면, 정말 많은 프로젝트에 여러 개발자들이 투입되어 협업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각 팀원별로 설치되어 있는 Node.js 버전이 다 다를 수 있는데, 버전 별로 deprecated 된 모듈도 많을 것입니다. 이럴 때 보통 nvm을 이용하여 노드 버전을 관리하는데 nvm은 생각보다 많이 느립니다. 그리고 그때 그때 버전을 확인하고 맞춰서 바꿔줘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습니다. 반면에 Volta 라는 커맨드 라인 툴은 Rust로 개발되서 매우 빠릅니다. 각 프로젝트별로 노드 버전을 pin을 해서 default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package.json에 내역을 관리하여 volta install 명령어를 통해 그에 맞는 버전을 자동으로 설치를 지원.. 2022.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