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66

[CS 스터디] - 세 번째 미팅 2023년 5월 7일 CS 스터디 세 번째 미팅에 참여했습니다. 오늘은 지난번 운영체제의 남은 부분 - Deadlock, Paging, Segmentation, Virtual Memory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파트의 PK, RDB의 N:M 관계, Left outer join vs. inner join, RDB vs. NoSQL, Transaction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다음 주에는 데이터베이스 나머지 부분과 네트워크까지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오프라인으로 한번 더 만나서 실전 기출 모의 면접을 서로 진행하고 식사를 할 예정입니다. 다들 마지막까지 화이팅입니다! 2023. 5. 7.
[Rust 스터디] - 세 번째 미팅 2023년 5월 7일 일요일 Rust 스터디 세 번째 미팅에 참여했습니다. 앞으로 스터디 진행 방식을 간단히 논의하였고 오늘은 Rust 공식 문서를 간단히 훑어봤습니다. Programming a Guessing Game 예제 Common Programming concepts Ownership Struct Enum, match expression 이 정도 간단히 살펴봤습니다. 앞으로 다음 주부터는 유데미 강의 하나를 활용할 예정이며 스터디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기본 실습도 함께 하면서 할 예정입니다. 교재가 상당히 지엽적인 내용이 많아서 강의로 가볍게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들 화이팅입니다! 2023. 5. 7.
[JS 스터디 2023] - 세 번째 미팅 5월 7일 일요일 JS 스터디 2023 세 번째 미팅에 참여했습니다. 지연성 파트 1 range vs. L.range take 지연 평가 위 개념 관련해서 학습하였습니다. 제너레이터를 이용하면 값이 바로 평가되지 않고 이터레이터의 주소를 반환하기 때문에 실제로 필요할 때 값을 얻어서 메모리, 시간적인 측면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면 왜 실무에서는 제너레이터를 많이 활용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보면 우리가 이미 사용하는 여러 내장 함수나 React의 suspense 기능 등은 추상화되서 내부 구현이 되어 있을 겁니다. 실제로 커스텀 제너레이터 함수를 만들면 다른 동료가 코드를 읽고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코드의 복잡성도 조금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쉽지 않다.. 2023. 5. 7.
[CS 스터디] - 두 번째 미팅 2023년 4월 30일 CS 스터디 두 번째 미팅에 참여했습니다. 오늘은 운영체제 파트입니다. Process의 개념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스레드의 차이점 멀티 프로세스간의 통신인 IPC 동기화 문제 해결을 위한 뮤텍스와 세마포 이렇게 살펴봤습니다. 전반적으로 쉽지 않은 내용이었고 개념을 이해하기에도 허들이 있습니다. 그래도 강의를 잘 활용하고 노트를 보면서 같이 리마인드를 했고 간단한 질의응답도 서로 주고 받았습니다. 다음 주는 운영체제 파트를 마무리하고 데이터베이스까지 하려고 합니다. 다들 화이팅입니다! 2023. 4. 30.
[JS 스터디 2023] - 두 번째 미팅 4월 30일 일요일 JS 스터디 2023 두 번째 미팅에 참여했습니다. 오늘은 지난번 이터레이터/이터러블 프로토콜에 이어서 go, pipe, curry 함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reduce 순수 함수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추출하는 go 함수, 함수를 리턴하여 나중에 활용될 값을 천천히 하나씩 호출하는 pipe 함수, 인자의 개수에 따라 두 개의 방식을 모두 활용하는 curry 함수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시작입니다. 생각보다 코드가 잘 읽히지 않고 이해하는 데 헷갈리는 것이 있었지만 자주 반복하여 학습하면서 다져야겠습니다. 다음 프로젝트에서도 활용해보면서 여러 경험을 쌓으려고 합니다. 2023.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