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ng-co100

[Trouble Shootings #8] HTTP/DB - HTTP 메소드 관련 DELETE vs. PUT/PATCH API를 설계하고 구현할 때 고민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우선 클라이언트 단 화면에서 삭제가 되었지만, 실제로 DB 단에서는 삭제가 되지 않고 수정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찜한 목록을 해제하였다면 그 해제한 날짜를 DB 테이블 컬럼에 추가만 하고 해당 레코드는 삭제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찜했다가 찜을 해제한 사용자의 행태를 분석하여 보이지 않는 데이터를 가지고 유의미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마케팅이나 여러 부분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에서 0.1초? 정도 속도를 줄이고 매출을 엄청 많이 오른 사례를 보면 상당히 중요한 이슈입니다. 그런데 백엔드 개발자 입장에서는 해당 API를 Restful 형식으로 개발한다는 가정 하에 DELETE 요청으로 .. 2022. 9. 23.
[Trouble Shootings #7] React - input의 여러 state 처리 리액트에서 form을 만들 때 useState를 여러 개 만들어서 처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면 너무 불필요한 반복되는 코드가 많아져서 inputs 라는 object를 useState의 초기값으로 만들고, 각각 input 태그에는 name 속성을 지정하여 이후 event handler로 [name]: value 값으로 지정시키면 훨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타입스크립트를 이용한다면 input 뿐만 아니라 textarea 까지 고려해서 타입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2022. 9. 23.
[개발 일기] - 22.09.22.Thu 22.09.22.Thu 오전에 영어 쉐도잉과 헬스를 했습니다. 이후 회사에 출근하여 업무를 하면서 이전에 작업한 트러블 슈팅 등이 떠올라서 블로그에 간단히 정리하였습니다. 업무로는 반응형 웹앱을 만들고 있어서 데스크탑 화면 쪽을 작업했습니다. 모바일과 데스크탑 화면 디자인이 생각보다 조금씩 다 달라서 해당 디자인과 함수형 컴포넌트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모듈화 시키고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지 작업하면서 계속 고민입니다. 그리고 최근 새로 오신 동료분과 함께 코드, 개발 관련 등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생각해 볼 내용] - 반응형 웹앱 제작을 위한 효율적인 모듈화 2022. 9. 23.
[Trouble Shootings #6] HTML - form 태그의 submit 을 위한 태그 HTML의 form 태그의 submit을 위한 적절한 태그가 무엇이 있을까요. 3가지 정도의 태그와 타입 속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1. input type="submit" 2. input type="button" 3. button type="submit" 우선 첫 번째 input type="submit"은 form 태그 내부에 작성하면 submit 이벤트로 연결이 됩니다. 그리고 3번의 button type="submit" 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2번의 케이스는 submit 이벤트가 연동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1번과 3번 중 어떤 것을 쓰는 것이 괜찮을까요. 사실 여러 사람들의 코드를 보다 보면 둘 다 많이 쓰기는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button type="submit"이 더 나은 .. 2022. 9.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