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1일 화요일
4장 이미지 갤러리 최적화
- 레이아웃 이동 피하기
- 이미지 지연 로딩
- 리덕스 렌더링 최적화
- 병목 코드 최적화
위 개념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레이아웃 shift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보통 요소의 사이즈 사전에 정의하기,
이미지 지연 로딩에서는 이번에는 IntersectionObserver 객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react-lazyload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는 방식,
리덕스 렌더링 최적화에서는 useSelector와 관련해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
병목 코드 최적화에서는 메모이제이션을 활용한 캐싱 기법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한 달 동안 FE 성능 최적화 스터디는 끝이 났습니다.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지식들이 많아서 좋았고
책도 너무 무겁지 않아서 읽기에 수월했습니다.
다들 고생하셨습니다~
그리고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Co-Study > FE 성능 최적화 스터디 2023 ✔️'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 성능 최적화 스터디] - 세 번째 미팅 (0) | 2023.07.26 |
---|---|
[FE 성능 최적화 스터디] - 두 번째 미팅 (0) | 2023.07.18 |
[FE 성능 최적화 스터디] - 첫 번째 미팅 (0) | 2023.07.13 |
댓글